근로기준법 제 2조(정의)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. 8. "소정(所定)근로시간”이란 제50조,제69조 본문 또는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139조제1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한다. 제50조(근로시간) ① 1 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. ② 1 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. ③ 제1 항 및 제2항에 따른 근로시간을 산정함에 있어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• 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. 벌칙(제110조):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|
• 장시간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과 문화적 생활을 저해하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므로 법에서는 1주 및 1 일의 근로시간 한도를 법으로 정하고 있음
• 특히,근로시간은 임금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추후 분쟁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알고 관리해야 함
법정근로시간
구분 | 의미 |
통상근로자 | 1일 8시간, 1주 40시간 |
연소근로자(18세 미만) | 1일 7시간, 1주 35시간 |
유해, 위험 작업 종사근로자 (높은 기압에서 하는 작업 등) |
1일 6시간, 1주 34시간 |
구분 | 의미 |
법정근로시간 | 법에서 정한 기준근로시간 - 통상근로자는 1 일 8시간,1 주 40시간임 - 다만, 법에서는 근로자의 연령 또는 작업 성질에 따라 법정근로시간을 달리 정함 |
소정근로시간 | 법정근로시간 내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 |
연장근로시간 (초과근로시간) |
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제공한 근로시간(통상 근로자) ※ ‘단시간 근로자’는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제공한 근로시간을 연장 근로시간으로봄 |
야간근로시간 |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시간에 제공한 근로시간 |
휴일근로시간 | 주휴일,근로자의 날,관공서 공휴일 및 대체 공휴일*,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노사간 휴일로 정한 날(약정휴일)의 근로시간 |
2022. 1. 1. 부터 5인 이상 사업장 -> 관공서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이 유급휴일로 의무화
'근로시간’이란
■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감독 아래에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
- 근로시간 도중 사용자의 지휘 감독으로부터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휴게시간이고,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서 제외됨
■ 대기시간
•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• 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도 근로시간에 해당함(근로기준법 제50조제3항)
지휘 • 감독을 받는 대기시간은 휴게시간이 아닌 근로시간이므로,해당 시간에 대한 임금을 지급해야 함
■ 근로시간에 해당되지 않는 시간
• 근무시간대에 속하더라도 지각,조퇴,결근,업무 면제 등에 따라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음
■ 작업시간 도중 실제로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대기시간,휴식 수면시간이라 하더라도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된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지휘 - 감독을 받고 있는 시간이라면 근로시간임(대법원 2017. 12. 5. 선고 2014다 74254 판결)
근로시간에 대한 판단 사례
대기시간 | 사용자의 지휘 • 감독 아래 있는 대기시간은 근로시간임 (예: 판매직 근로자가 고객이 없어 대기중인 시간) |
교육시간 | 직무교육,교양교육도 사용자의 지시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고, 근로자가 이를 거부할 수 없다면 근로시간에 해당 |
워크숍/세미나 | 사용자의 지휘 • 감독하에 업무수행의 목적인 경우 근로시간임 - 단,친목도모의 목적인 경우 근로시간 불인정 |
접대 | 사용자의 지시 또는 최소한의 승인하에 업무수행과 관련이 있는 제3자를 접대하는 경우는 근로시간임(예 : 바이어 접대) |
야유회 | 소정근로시간 중 행해지는 야유회 등의 행사는 근로시간임 -소정근로시간 외의 행사라도 참석이 의무화되어 있으면 근로시간임 |
회식 | 노무제공과 관련없이,구성원의 사기진작 및 친목 등을 위한 차원의 회식은 근로시간불인정 (예 : 퇴근후 부서회식) |
법정 근로시간준수 의무
• 통상근로자는 1주 40시간,1 일 8시간을 준수해야 함. 다만 당사자간 합의로 주 12시간을 한도로 연장근로가 가능함
- 연소근로자,여성근로자 등도 법에서 정한 법정 근로시간을 준수해야 함
사례 ■ 버스운수업의 차량점검,식사시간 등의 사례 • (근로시간 인정) 차량점검,요금통 설치,연료충전 등 작업준비 시간은 사용자의 지휘감독이 있는 경우 근로시간에 해당 • (근로시간 불인정) 사용자의 지배관리에서 벗어나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식사시간은 근로시간에 해당하지 않음 ■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방문 건강관리사업의 교육시간 •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방문 건강관리사업에 종사하는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업무수행상 필요한 다양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하여야 함(보건복지부에서 교육비를 지급함) • 따라서,방문건강관리사업 종사자의 경우,교육참석이 사용자의 지시 •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 점을 고려하면 그 교육시간은 근로시간에 해당함 ■ 의무가 아닌 교육시간 • 직원들에게 교육 이수 의무도 없고,근로자가 교육참가를 거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불이익이 없다면 근로시간으로 보기 어려움 |
'노동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휴게시간 부여 (0) | 2024.03.19 |
---|---|
연장근로 및 특별연장근로 (1) | 2024.03.19 |
연장근로, 야간근로, 휴일근로 (0) | 2024.03.18 |
휴업수당 (1) | 2024.03.18 |
도급사업에 대한 임금지급 (0) | 2024.03.18 |